<서울 외국인 근로자 한달 평균 급여분포>
서울에 사는 외국인 근로자 약 9만여명은 하루 평균 11시간 일하고 월평균 189만원의 급여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정착 어려움으로 의사소통을 꼽았지만, 현재 90%가 한국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한 달간 설문에 동의한 외국인 근로자 700명을 대상으로 1대 1 면접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주거, 근로, 생활환경 등 11개 분야, 93개 설문으로 이뤄졌다.
외국인 근로자의 서울 생활환경에 대한 종합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7점으로 '다소 만족'하는 수준으로 조사됐다. 기본 생활환경 만족도는 교통, 문화, 주거, 의료 순으로 '다소 만족(3.56점)'하고, 외국인주민 관련 생활환경 만족도는 수용태도, 지원시설, 시설운영 순으로 '보통 만족(3.18점)' 수준이었다.
한국에 입국한 이유로는 '돈을 많이 벌 수 있어서'란 응답이 45.8%로 가장 높았고, 하루 평균 11시간 근무해 한 달 평균 189만7000원의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 분포는 151~200만원이 47.8%, 201~250만원이 24.8%, 100~150만원이 15.3%, 251~300만원이 7.0%로 나타났다. 이 중 중국동포 등 외국국적동포인 방문취업자 급여가 192만4000원으로 태국, 필리핀 등에서 온 비전문취업자(151만9000원)보다 약 40만원 많게 나타났다.
거주 주택형태는 단독주택(44.1%), 연립·다세대·빌라(41.4%), 회사 기숙사(6.2%), 아파트(6.2%) 순으로, 보증금 있는 월세(63.7%)가 가장 많았다. 평일 여가생활은 TV 시청(54.3%)이나 휴식(29.8%)을 취하고 주말에는 친구나 친척 등과 친교활동(33.4%)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10명 중 8명은 최근 1년간 서울에서 문화·체육 행사를 경험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41.5%로 낮게 타났다. 비싼 보험료(42.7%)와 아직 건강해서(16.7%) 가입하지 않았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의료환경부분에서 불편한 점은 △높은 진료비용(45.5%) △의료기관 정보 부족(28.6%) △외국인주민 전담병원 등 부족(26.7%), 외국어 서비스 부족(14.2%) 등이었다.
인터넷 이용률은 42.1%, 스마트폰 소지 비율은 88.3%,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도 70%로 높았다. 생활에 필요한 정보는 주위사람을 통해 습득하는 경우가 64.4%로 가장 많았다. 가정 원하는 정보로는 40.8%가 취업 관련 정보를 꼽았다.
외국인 근로자들은 또 초기 정착단계에서는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으나(46.2%) 현재 한국어로 의사소통하는데는 90.1%가 '문제가 없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7.5%는 한국어 독해도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생활이 어려울 때 도움상대는 한국에 사는 모국인(35.7%), 배우자(28.8%) 순으로 많았고, 주로 정신적 대화 및 위로(46.9%)를 통해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92.7%가 체류기간 연장을 희망하는 가운데 이 중 78.9%는 3년 이상 체류기간 연장을 원한다고 밝혔다. 외국인 주민에게 가장 필요한 서울시의 정책으로는 △주거, 의료 등 기본 생활안정 정책 △조기정착 교육 및 상담 △일자리 지원정책 등을 꼽았다.
머니투데이